라벨이 고용보험인 게시물 표시

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방법 (건강보험 EDI 실무 2탄)

이미지
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방법 (건강보험 EDI 실무 2탄) 직원이 새로 입사했을 때, 반드시 해야 할 것이 바로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입니다. 이 신고는 건강보험 EDI 시스템을 통해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는데요, 오늘은 건강보험 자격취득신고 를 중심으로 고용보험, 국민연금, 산재보험과의 연계 까지 설명드릴게요. 📌 EDI 자격취득신고란? 건강보험공단 EDI 시스템을 통해 입사자의 자격을 취득 신고하면, 국민연금공단, 고용노동부 와 자동 연계되어 4대보험 자격이 모두 등록됩니다. 다만,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은 별도로 고용노동부 EDI에 직접 신고해야 하는 경우 도 있으니 사업장 상황에 따라 확인이 필요합니다. ✅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절차 (EDI 기준) 건강보험 EDI 프로그램 실행 👉 https://edi.nhis.or.kr 접속 후 로그인 신고/제증명 바로가기 → [자격취득신고] 클릭 기본정보 자동입력 확인 사업장명, 사업장번호, 대표자명 등 자동 입력됨 취득 대상자 정보 입력 성명 주민등록번호 (’-’ 없이) 입사일자 (취득일) 직종코드 (일반 사무직이면 1010) 고용형태 (일반/계약직 등) ‘전송’ 버튼 클릭 전송 완료 후 처리결과 출력 가능 💡 실무 팁 여러 명을 한 번에 입력할 땐 엑셀 일괄등록 기능 사용 가능 입사일 기준 14일 이내 신고 필수 (지연 시 과태료 발생) 입사일과 근로계약서의 시작일자가 일치 해야 함 기존 가입자의 경우, 피부양자 등록해제 여부도 확인 해야 함 📎 4대보험 연계 설명 건강보험 EDI 신고 시 → 국민연금공단과 자동 연계 고용보험, 산재보험 → 일부는 고용노동부 EDI로 별도 신고 필요 따라서 EDI로 건강보험 취득 신고를 했...